Current time in Korea 00:04 Apr 27 (Sat) Year 2024 KCS KCS Publications
KCS Publications
My Journal  Log In  Register
HOME > Search > Browsing(JKCS) >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JKCS)

ISSN 1017-2548(Print)
ISSN 2234-8530(Online)
Volume 51, Number 6
JKCSEZ 51(6)
December 20, 2007 

 
Title
The Effect of Grouping by Communication Apprehension Level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for Middle School Chemistry

중학교 화학에 적용한 해결자 ·청취자 활동에서 의사소통 불안 수준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Author
Hunsik Kang, Jeongsoon Lee, Kyungsun Kim, Kyungmoon Jeon, Taehee Noh*

강훈식, 이정순, 김경순, 전경문, 노태희*
Keywords
해결자·청취자 활동, 의사소통 불안, 화학 문제 해결 ,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pprehension, Chemistry Problem Solving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 의사소통 불안 수준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를 조사했다. 수
업 전 중학교 3학년 세 학급(N=99)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불안 검사를 실시한 후, 의사소통 불안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치했다. ‘화학 반응식의 계수 맞추기’, ‘질량 보존의 법칙’, ‘일정 성
분비의 법칙’ 등에 관한 수업을 7차시 진행한 후, 화학 문제 해결력 검사 및 수업 처치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
시했다. 이원 변량 분석 결과, 화학 문제 해결력 검사의 점수에서 수업 처치와 학생들의 의사소통 불안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단순 효과 검증 결과, 의사소통 불안이 낮은 학생들의 경우 이질 집단의 평
균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학생들의 수업 처치에 대한 인식은 동질 집단에서 긍정적인 경
향이 있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grouping by communication apprehension level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was examined. Three classes of 9th graders (N=99)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homogeneous
group or heterogeneous group based on the test scores of their communication apprehension. After the instructions concerning
‘writing balanced chemical equation’, ‘the law of conservation of mass’, and ‘the law of definite proportions’
for 7 class hours, students’ chemistr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perception to the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were examined. Two-way ANOVA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n interactive effect in the score of chemistry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In simple effect test for the students of low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e scores of the
heterogeneous grou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students in
homogeneous group had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s to the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Page
569 - 576
Full Text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