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Information

Article Information


GC-OTC/FID에서 Dead Time 결정을 위한 새로운 방법 개발에 대한 연구


Abstract

GC-OTC/FID(Gas chromatography-Open Tubular Column/Flame Ionization Detector) 계에서 극성 용매(Alcohols)를 분리 하기 위하여 DMSO(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다. 이 계에서는 극성 용매들 보다 DMSO가 늦게 용출이 된다. 이런 계에서 크로마토그래픽 인자인 조정된 머무름 시간(tR'=tR-tO)과 용량 인자{k'=(tR-tO)/tO} 및 분리 인자{α=(tR2-tO)/(tR1-tO)}를 구하기 위하여 불감시간(tO)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계에서 tO 를 구하기 위한 보고가 현재까지 된 바가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tO 를 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tO 를 계산하기 위하여 DMSO의 머무름 시간(DMSO tR)을 상용로그로 전환하였다(f(x)=log tR(DMSO)→tO, tO=log 9.551=0.980). 개발된 방법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CH4의 tR과 ln tR(DMSO)를 log tR(DMSO)와 비교하였다. 세 가지 방법 중 CH4 tR 과 ln tR(DMSO)는 k' 과 α를 계산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인 log tR(DMSO)는 일반적인 기준인 k'(1<k'<10)과 α(1<α<2)를 만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계산방법은 쉽고 편리하기 때문에, 이와 유사한 계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ranslated Abstract

In the system of GC-OTC/FID (Gas chromatography-Open Tubular Column/Flame Ionization Detector), DMSO (Dimethyl sulfide) solvent was used to separate the polar solvents (Alcohols). In this system DMSO was eluted later than the separated polar solvents. At this system to calculate chromatographic factors [adjusted retention time (tR'=tR-tO), capacity factor{k'=(tR-tO)/tO} and separation factor {α=(tR2-tO)/(tR1-tO)}], dead time(tO) is necessary, but the method to calculate it has not been reported yet. Therefore, we have tried to develop tO. To calculate tO, we conversed DMSO retention time (DMSO tR) to logarithm (f(x)=log tR(DMSO)→tO, tO=log 9.551=0.980). To confirm the optimization of the developed method, we compared with CH4 tR and ln tR(DMSO). Both of the values calculated by CH4 tR and ln tR(DMSO) were not suitable in the calculation k' and α. The developed method in this study{log tR(DMSO)} has satisfied both of the values k' criteria (1<k'<10) and α (1<α<2). The developed calculation method in this study was easy and convenient,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se similar systems.


Expand AllCollapse All

서 론

Chromatography는 20세기 초 Michael Tswett에 의해 최초로 사용된 이래 현재까지도 눈부신 발전을 계속하고 있는 분리 분석 분야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인자는 머무름 시간(tR)이다. tR은 시료 주입 시점으로부터 봉우리의 꼭지점까지의 시간으로 용질들의 tR을 이용하여 성분들을 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GC의 조건과 컬럼에서도 다른 분석 환경(man, time, lab and place etc.)의 변화에 의해 약간씩 tR이 변하므로 다른 분석 환경에서의 tR만을 비교하여 동일 물질의 확인 및 정성을 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이런 이유로 크로마토그래픽 분리와 이론적인 모델 공식의 합당화(Optimization)를 위하여 다른 머무름 척도인 조정된 머무름 시간(tR')과 머무름 비(k'; 용량 인자)가 머무름 시간(tR)보다 중요하다. k'은 운반 기체의 부피 속도나 선형 속도의 변화에 대한 요인을 없애기 위해 사용된다. k'은 용질이 정지상에 머무르는 시간에 대한 이동상에서 머무르는 시간의 상대적인 양으로 단위가 없고 컬럼 간에 직접적 비교가 가능해 유용하다.

tR'과 k'은 tR'=tR-tO, k'=(tR-tO)/tO에 의해 계산된다. 불감시간(tO; dead time, void time, hold-up time)은 모든 용질들이 이동상에서 보내는 시간으로, 정지상에서 머무름이 없는 성분을 주입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그러나 tO의 참값은 어떤 조건하에서도 측정하기가 어려우며, 측정을 위한 원칙이 없고 크게 실험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tO의 정확한 결정은 아직도 논쟁1~3이 되는 사안이다. GC에서 tO 결정을 위한 물질의 선택은 사용되는 특별한 실험 조건이나 사용된 검출기(TCD/FID/ECD/TID/FPD/MSD/ELCD etc.)에 의존한다. 따라서 tO의 정확한 측정 없이 분리 시스템에 관련된 Chromatographic factors (tR', k, α etc.)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으므로 참값에 근접할 수 있는 tO 결정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tR', k' 및 분리 인자{α=(tR2-tO)/(tR1-tO)}를 계산하려면 tO를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4 tO를 결정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5,6이 제안되었으며, 이들 방법들은 크게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분류된다.7

  • i) 머무르지 않는 용질의 머무름 시간 측정

  • ii) 동족계열 물질의 머무름에 기초한 Regression calculation로부터의 추론

  • iii) 고온에서 용매 피크의 선단으로부터

  • iv) 이동상의 Poiseuille’s law behavior로부터 계산

불감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중 간접적인 방법은 여러 동족 계열(Homologous series)의 화합물들을 분석하여 회귀적 계산(Regression calculation)을 하는 방법8이나 복잡한 수학적 계산9을 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직접적인 방법이 자주 사용되어 왔으나 직접적인 방법도 분석조건(이동상 흐름 속도, 컬럼 온도, Unretained makers)에 따라 변하므로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GC에서는 편의성을 위하여 분석 물질과 동시에 검출기의 종류에 따라 Marker가 되는 물질을 같이 미량 주사하여 얻어지는 머무름 시간을 불감시간으로 활용하였고, 분석 물질 앞에 용리되는 용매 피크10를 사용기도 하였다. 한편 HPLC에서는 편리한 방법으로 이동상 자체에서 나타나는 Ghost peak의 머무름 시간을 자주 활용하였으며, NPC에서는 Benzene, RPC에서 Uracil 등을 사용하여 불감시간을 결정하였다.11,12 만약 tO의 위치가 의문스러우면 다른 머무르지 않는 화합물(Unretained compound)이나 약한 용매가 주입될 수 있고, 이 물질의 머무름 시간을 tO로 할 수 있다.13 불감시간의 효과는 거의 모든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보여진다. 특히 LC보다 GC에서 크며, 불감시간 효과가 작으면 다른 유사한 현상으로부터 구별하기(Baseline disturbance)가 어렵고, 크면 분리에 영향을 주어 분리와 정량(Separation and quantitation)에 절충(Compromise)이 필요하다. 불감시간은 정지상에 머무르지 않는 물질의 머무름 시간을 의미함으로 크로마토그래픽 인자들 계산을 위한 일차적 계산 기준(Criteria)과 보정(Correction)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현대에 와서 급속한 컬럼의 발달로 충전 컬럼이 OTC(Open tubular column)로 대치되어 사용되면서 tO를 결정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본 연구에 사용된 용매(DMSO; Dimethyl sulfoxide)는 비 양성자성의 강한 극성 용매로 강력한 용해력을 가지고 있어 의약품에 잔류된 극성 용매를 용출하거나, 작업환경 공기중의 극성 용매들을 흡착시킨 흡착제(예; silica gel)로부터 극성 유기 용매들을 탈착14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일반 용매와 달리 비점(bp; 189 °C)이 높아 분리 물질의 뒤에서 용출이 된다. 현재까지 분리 물질들 뒤에 용출되는 용매의 사용 시스템에서, tO를 결정하는 방법을 적용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C-OTC/FID (Gas chromatography-Open tubular column/ Flame ionization detector)로 분리 시 DMSO의 tR을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tO을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MSO의 tR을 수학적 전환(상용로그로 전환)을 통해 불감시간(tO)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현재 통용되는 기본 인자들(tR', k, α)의 계산에 적용하고, 정립한 불감시간의 개념을 일반화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대상물질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된 시약은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Dimethyl sulfoxide (DMDO) 및 CH4를 사용하였다. Methanol은 Junsei (순도 99.8%, 비중 0.791), Ethanol은 J. T Baker (순도 99.9%, 비중 0.789), Isopropanol은 J. T Baker (순도 99.84%, 비중 0.78), DMSO는 Junsei (순도 99.0%, 비중 1.101), CH4는 유기물질 등의 혐기성 소화과정에서 발생되는 혼합 가스(CH4; H2S=6;4)를 사용하였다. 주 대상 분석 물질은 Methanol이며, Ethanol, Isopropanol은 시험에 간섭 물질로 사용하였다. CH4는 tO를 얻기 위한 비교 reference 물질로 사용하였다.

기기 분석조건

Gas chromatograph; Thermo Finnigan Trace GC attached auto sampler & FID

Column; HP-5 (5% diphenyl-95% dimethyl polysiloxane), OTC (open tubular column), length 50 m, i.d 0.32 mm, film thickness 0.25 µm

Temperature; Injector 200 °C, Column 45 °C, 4 min, 15 °C/min to 180 °C (gradient), Detector 250 °C

Flow rate; N2 30 ml/min (column 2 ml/min, make-up 28 ml/min), H2 35 ml/min, Air 350 ml/min

Injection volume; 2 µl

표준 용액 조제

Methanol의 표준 용액은 작업환경 공기 중의 노출 기준(TLV 및 STEL)을 고려하여 공기 10 L를 채취하였을 때의 0.1~2배 범위 중 약 1배의 농도로 조제하였다. Methanol, Ethanol, Isopropanol의 양은 실험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각 1 µl를 DMSO 1 ml가 들어있는 2 ml vial에 넣고 고무마개를 한 후 알루미늄으로 캡핑(Capping)을 하여 실험 중 5 °C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CH4는 혐기성 가스가 발생되는 현장에서 1 L Polyester Aluminum bag에 받아 이 중에 1 ml를 주사기로 뽑아 1 ml DMSO가 들어있는 Capping된 2 ml 바이알에 넣어 용해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비극성이나 약한 극성의 용매류의 분리 정량에 많이 사용되는 정지상인 HP-5 (5% diphenyl-95% dimethyl polysiloxane)가 결합된 OTC (Open tubular column) 컬럼을 사용 시 머무름 시간이 극성인 알코올류와 중첩 가능성이 높은 CS2나 CS2와 보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알코올류와 완전 분리되어 용출되는 강력한 용해력을 가진 DMSO를 사용하였다. 또한 알코올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반복성(Repeatability; 6회) 시험을 통해 상대표준편차가 기준(1~2%)15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였다.

Chromatography에서 tO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석 물질의 앞에 용출되는 Ghost peak (HPLC)나 Marker (Table 1) 그리고 용매 피크에 대해 직접적으로 tO을 결정할 수 있지만 분석 물질 뒤에 용출되는 용매를 사용 시는 tR', k', α 계산을 위한 tO의 결정이 더욱 어렵다. GC에서 tO를 구하기 위해 직접적 방법과 간접적 방법이 있으나 실제로 정지상에 머무르지 않는 물질은 없기 때문에 간접적 방법이 요구되었다.16 그러나, tO를 구하기 위한 간단하고 정확한 방법은 없다. 따라서 실험적 응용을 위하여 제시된 대부분의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tO를 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용매인 DMSO의 머무름 시간을 사용하여 기준 시간(Reference time)을 설정하기 위해 DMSO의 머무름 시간을 상용로그 함수로 간단히 수식 변환을 하였다{f(x)=log tR(DMSO)→tO}. 상용대수화한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FID에 많이 사용된 CH4의 tR과 DMSO의 tR을 자연로그로 전환한 값{ln tR(DMSO)}과 비교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 조건의 변화(완건성 실험; 이동상 흐름 속도와 컬럼온도)에 따라 상용로그 함수로 변환한 tO값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들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물질의 tR', k' 및 α를 비교하였다.

Table1.

The unretained markers used to gas and liquid chromatography

Classification Marker Remark
GC TCD H2, N2, air, inert gas (He, Ne, Ar) Solvent peak have been also used to marker.
FID CH4, butane
ECD Methyl chloride, CCl2F2
FPD Vinyl chloride, SF6
TID(NPD) Acetonitrile
ELCD Vinyl chloride
MSD CH4, butane, air
HPLC NPC Benzene Unretained ghost peak have RPC been used to marker.
RPC 1. Uracil,
2. Sodium nitrate,
3. More than Nitrite 3×10-6 mole
4. 0.01% Potassium bromide

결과 및 고찰

알코올류 및 CH4의 분석

연구 대상 및 방법 부분에 기재된 기기분석 조건으로 각 표준용액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크로마토그램은 Fig. 1, Fig. 2와 같다. 분석 결과 CH4, Methanol, Ethanol, Isopropanol을 동시에 분석하였을 때와 CH4만을 분석하였을 때의 CH4의 tR은 차이가 없었다. Fig. 1의 크로마토그램을 동일 조건하에서 3회 분석한 결과는 Table 2에 보여진다. 3회 분석한 평균 머무름 시간은 CH4 3.251, Methanol 3.548, Ethanol 3.892, Isopropanol 4.212, DMSO 9.551분이었다.

Figures1.

Chromatogram of CH4,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and DMSO.

jkcs-63-246-f001.tif
Figures2.

Chromatogram of CH4, and DMSO

jkcs-63-246-f002.tif
Table2.

Each retention time of CH4,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and DMSO

Classification CH4 MeOH EtOH IPA DMSO Remark
1st 3.247 3.560 3.887 4.207 9.573
2nd 3.252 3.517 3.895 4.215 9.540
3rd 3.253 3.568 3.895 4.215 9.540
AV. 3.251 3.548 3.892 4.212 9.551
σn-1 0.003 0.022 0.004 0.004 0.016
r.s.d. % 0.09 0.62 0.10 0.09 0.16

반복성(Repeatability) 실험

본 분석 방법의 검증(Validation)을 확인하기 위한 항목인 반복성 실험을 위해 알코올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분석 조건으로 6회 반복성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3에 보여진다. 반복성 실험에 의한 상대 표준편차는 MeOH 0.28%, EtOH 0.1%, IPA 0.1%, DMSO 0.07%로 기준(1~2%)15을 만족하였다. 또한 반복성 실험에서 얻을 수 있는 표준편차의 4배(4σn-1=wb)는 기준선 폭(wb; width of baseline)으로 크로마토그래피의 다른 항목인 이론단수{n; number of theoretical plates, n=16(tR/Wb)2} 및 분리능{Rs; resolution, Rs=2(tR2-tR1)/(Wb1+Wb2)}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Table3.

Repeatability for alcohol standard solution

No. Retention time Remark

MeOH EtOH IPA DMSO
1 3.580 3.888 4.205 9.565
2 3.558 3.888 4.205 9.580
3 3.560 3.888 4.207 9.567
4 3.585 3.895 4.212 9.570
5 3.563 3.893 4.208 9.580 - n = 16 (tR/Wb)2
6 3.570 3.900 4.218 9.582 - Rs = 2 (tR2-tR1) / (Wb1+Wb2)
Average 3.569 3.892 4.209 9.574
σn-1 0.010 0.004 0.004 0.007
r.s.d, % 0.28 0.10 0.10 0.07
wb (=σn-1) 0.04 0.016 0.016 0.028

CH4 tR과 ln tR(DMSO) 적합성 검토 및 본 방법(log tR(DMSO))과의 비교

GC의 FID를 사용 시 CH4는 유일한 신호(Signal)를 보이므로 tO 결정을 위한 Marker로 많은 논문서 사용하였지만 이동상의 흐름 속도나 온도의 변화에 유사한 약점을 보이므로 사용에 조심을 기하여야 한다. 주어진 동일한 조건으로 tO를 구하기 위해 직접법이나 간접법이 사용되지만 모든 방법이 같은 값을 산출하지는 않는다. 직접적인 방법으로 tO를 구하기 위해 CH4를 사용하지만 실제로 정지상에 머무르는 물질은 거의 없으므로 이 값도 의심스럽다.17 그러나 본 연구에서도 비교물질로 CH4를 사용하였다. CH4의 tR인 3.251분을 tO로 설정하여 각 알코올의 용량 인자(k'=tR'/tO)를 계산 시 MeOH 0.091, EtOH 0.197, IPA 0.296로 k'의 일반기준인 1<k'<1012 또는 2<k'<818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DMSO의 tR을 자연로그화한 ln tR(DMSO)을 tO=2.256로 했을 때도 MeOH 0.572, EtOH 0.725, IPA 0.867로 k'의 일반기준인 1<k'<10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log tR(DMSO)로 계산된 log 9.551=0.980 min를 이용하여 계산된 k'값은 MeOH 2.620, EtOH 2.971, IPA 3.298로 k'의 일반기준인 1<k'<10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적합한 tO가 결정되어야 그에 연관된 k' 값도 적합한 수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과 같이 분리 물질보다 용매가 뒤에서 용출되는 계에서 tO를 구하기 위하여 CH4의 tR이나 ln tR(DMSO)를 적용하는 것보다 log tR(DMSO)를 적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분리 인자(α)는 이웃한 두 크로마토그램의 상대적 머무름 비로 적합한 tR'이나 k'로 계산되어야 한다. α의 일반적 적합한 범위는 1<α<2이다. 그 결과는 Table 4에 보여진다.

Table4.

Comparison of tR', k' and α value according to CH4 tR, ln tR(DMSO) and log tR(DMSO)

tO MeOH, 3.458 EtOH, 3.892 IPA, 4.212 DMSO, 9.551 Remark
  • CH4

  • tR=3.251

tR' 0.297 0.641 0.961 6.300
  • - tR'=tR-tO

  • - k'=(tR-tO)/tO

  • - α=k2'/k1'

k’ 0.091 0.197 0.296 1.938

α 2.16 - -

1.50

  • ln tR(DMSO)

  • =2.256

tR' 1.292 1.636 1.956 7.295
k’ 0.572 0.725 0.867 3.234

α 1.26 - -

1.20

  • log tR(DMSO)

  • =0.980

tR' 2.568 2.912 3.232 8.571
k’ 2.620 2.971 3.298 8.745

α 1.13 - -

1.32

완건성 실험(이동상 흐름 속도, 컬럼 온도 변화)에 따른 k'와 α의 비교

분리 물질의 tR도 분석 조건의 변화에 따라 조금씩 변하고 이에 따라 k'값도 변한다 그러나 변화된 각 조건에서의 tO를 보정함으로써 tR'과 k'의 변화 폭을 줄일 수 있어 변화된 조건에서의 객관적 비교가 가능하다. 이동상 흐름 속도를 1.5→2.0→2.5 ml/min로 변화 시 MeOH에 대하여 tO를 보정 안 했을 때 tR의 변화 폭이 4.253→3.547→3.100으로 1.153 변화하였으나 tO (1.018→0.982→0.956) 보정 시 tR'이 3.235→2.565→2.144로 1.091로 변화 폭이 0.062 (1.153-1.091 = 0.062) 줄었다. EtOH에서는 2.219 (4.620-3.383)에서 1.175 (3.602-2.427)로 1.044 줄었고, IPA에서는 1.302 (4.970-3.668)에서 1.24 (3.952-2.712)로 0.062가 줄었다. 따라서 이 비율만큼 k'도 조정이 된다. 이 결과는 Table 5에 보여 진다.

Table5.

Comparison of tR', k' and α according to mobile phase change

Flow rate, ml/min MeOH EtOH IPA DMSO Remark
1.5 tR' 4.253 4.620 4.970 10.433
  • log10.433=tO

  • =1.018

tR 3.235 3.602 3.952 9.415
k’ 3.178 3.520 3.882 9.248

α 3.520/3.178=1.107 - -

3.882/3.520=1.102
2.0 tR 3.547 3.872 4.193 9.612
  • log9.612=tO

  • =0.982

tR 2.565 2.890 3.931 8.630
k’ 2.612 2.942 3.270 8.788

α 2.942/2.612=1.126 - -

3.270/2.942=1.111
2.5 tR 3.100 3.383 3.668 9.030
  • log9.030=tO

  • =0.956

tR' 2.144 2.427 2.712 8.074
k’ 2.242 2.538 2.836 8.446

α 2.538/2.242=1.132 - -

2.836/2.538=1.117

컬럼 온도를 35→45→55→65 °C로 변화 시 MeOH은 tR이 0.285 (3.672-3.390)에서 tR'이 0.163 (2.658-2.495)로 0.122가 조정되고, EtOH은 tR이 0.545 (4.118-3.573)에서 tR'이 0.428 (3.104-2.676)로 0.117이 조정되고, IPA는 tR이 0.763 (4.545-3.782)에서 tR'이 0.676 (3.531-2.855)로 0.087이 조정되었다. 따라서 컬럼 온도 변화에 따른 k'변화는 MeOH에서 2.621 → 2.612 → 2.675 → 2.779, EtOH에서는 3.061 → 2.942 → 2.930 → 2.983, IPA에서는 3.482 → 3.270 → 3.186 → 3.182로 변화 폭이 매우 미미하여 분석 조건의 변화에 따른 k'을 비교하기가 가능하였다. 특히 흐름 속도 변화보다 컬럼 온도 변화에 대해 안정적이었다. 이 결과는 Table 6에 보여 진다.

Table6.

Comparison of tR', k' and α according to mobile phase change

Colum temp. ℃ MeOH EtOH IPA DMSO Remark
35 tR 3.672 4.118 4.545 10.433
  • log10.350=tO

  • =1.014

tR 2.658 3.104 3.531 9.356
k’ 2.621 3.061 3.482 9.207

α 3.061/2.621=1.168

3.482/3.061=1.138
45 tR 3.547 3.872 4.193 9.612
  • log9.612=tO

  • =0.982

tR 2.565 2.89 3.211 8.630
k’ 2.612 2.942 3.270 8.788

α 2.942/2.612=1.126

3.270/2.942=1.111
55 tR 3.462 3.703 3.943 8.747
  • log8.747=tO

  • =0.942

tR 2.52 2.761 3.001 7.805
k’ 2.675 2.930 3.186 8.286

α 2.930/2.675=1.095

3.186/2.930=1.087
65 tR 3.390 3.573 3.752 7.895
  • log7.895=tO

  • =0.897

tR 2.495 2.676 2.855 6.998
k’ 2.779 2.983 3.182 7.802

α 2.983/2.779=1.073 - -

3.182/2.983=1.066

결 론

GC-OTC/FID 계에서 극성 용매(Alcohols)를 분리 분석하기 위하여 탈착 용매로 강력한 용해력을 가진 비양성자성인 DMSO(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다. 이 계에서 알코올들 보다 비점이 높은 DMSO가 늦게 용출이 된다. 이런 계에서 크로마토그래픽 인자인 조정된 머무름 시간 (tR'=tR-tO)과 용량 인자 {k'=(tR-tO)/tO} 및 분리 인자{α=(tR2-tO)/(tR1-tO)=k2'/k1'}를 구하기 위하여 불감시간(tO)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계에서 tO를 구하기 위한 보고가 현재까지 된 바 없어 본 연구에서는 tO를 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O를 구하기 위하여 DMSO의 tR을 상용로그로 전환하였다. 이 방법은 간접법을 활용한 수학적 전환으로 매우 쉽고 간편하다.

f(x) = log  t R(DMSO) t O t O = log   9.551 = 0.980

2. 개발된 방법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직접법에 사용되는 CH4의 tR과 다른 방법인 자연로그로의 전환값{ln tR(DMSO)}을 이용한 tO 값과 비교하였다. 세 가지 방법중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이 연관된 tR', k', α를 계산하는데 적합하였고 일반적 기준인 1<k'<10, 1<α<2도 만족하였다.

3. 이와 동일한 계에서 다른 극성용매(Acetone, MC, MEK, MIBK)14에 대해서도 tO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References

1. 

T. Watanachaiyong N. Jeyashoke K. Krisnangkura J. Chromatogr. Sci.20003867 [CrossRef]

2. 

J. E. Quintanilla-López R. Lebron-Aguilar J. A. Garcia-Domínguez J. Chromatogr. A1997767127 [CrossRef]

3. 

J. V. Hinshaw LC GC N. Am.201511850

4. 

A. Touabet A. Y. Badjah Hadj Ahmed M. Maeck B. Y. Meklati J. High. Resolut. Chromatogr.19869456 [CrossRef]

5. 

R. J. Smith J. K. Haken M. S. Wainwright J. Chromatogr. A198533495 [CrossRef]

6. 

R. J. Smith J. K. Haken M. S. Wainwright B. G. Madden J. Chromatogr. A198532811 [CrossRef]

7. 

Colin F. Poole The Essence of ChromatographyElsevier2003140

8. 

F. R. Gonzales J. Chromatogr. A1999832165 [CrossRef]

9. 

G. Gastello S. Vezzani P. Moretti J. Chromatogr. A199467795 [CrossRef]

10. 

Whitman College Frank M. D. Chromatographic Theory (section1.2)2008

11. 

R. J. Smith C. S. Nieass M. S. Wainwright J. Liq. Chromatogr.198691387 [CrossRef]

12. 

Theory of HPLC Chromatographic Parameterswww.CHROMacademy.com38

13. 

L. R. Snyder J. J. Kirkland Introduction to Modern Liquid Chromatography2nd ed.John Wiley & Sons197924Chap. 2

14. 

D. S. Oh S. S. Kim S. Lee K. C. Hwang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20162620 [CrossRef]

16. 

José Antonio García Domínguezl José Carlos Díez-masa The Hold-up Volume Concept In Column Chromatography (Iupac Recommendations 2000), 2

17. 

L. Ambrus J. Chromtogr. A1984294328 [CrossRef]

18. 

CDER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U.SReviewer Guidance, Validation of Chromatographic MethodsFDARockville, MD1994N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