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time in Korea 21:49 Apr 20 (Sat) Year 2024 KCS KCS Publications
KCS Publications
My Journal  Log In  Register
HOME > Search > Browsing(JKCS) >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JKCS)

ISSN 1017-2548(Print)
ISSN 2234-8530(Online)
Volume 38, Number 10
JKCSEZ 38(10)
August 20, 1994 

 
Title
Analysis of Higher Order Structure of 5S rRNA from Xanthomonas celebensis by Using Angiogenin

안지오제닌을 이용한 Xanthomonas celebensis 5S rRNA의 고차원 구조 분석
Author
Sangbumn Kim, Bongrae Cho, Jahei Ihm, Soo-Ik Chang, Inwon Park

김상범, 조봉래, 임자혜, 장수익, 박인원
Keywords
Abstract
우유에서 추출한 안지오제닌을 사용하여 Xanthomonas celebensis 5S rRNA의 고차원 구조를 조사하였다. 안지오제닌은 5S rRNA의 단일가닥 부분에 있는 피리미딘 염기들의 먼 쪽으로 있는 3' P-O 에스테르 결합들만을 절단하였다. pH 7.0이고 10 mM의 Mg2+이 있을 때 안지오제닌은 5S rRNA의 d 고리에서만 작용하였지만 Mg2+이 없을 때는 e 고리를 제외한 모든 고리들(a, b, c, d 고리들)에서 작용하였다. Mg2+이 없을 때 U74-G75와 U77-A78, U103-A104 결합들이 pH 7.0과 pH 3.5에서 모두 안지오제닌의 작용에 매우 민감하였다. 한편 pH 3.5이고 Mg2+이 없을 때 안지오제닌이 a 고리의 C17-G18과 b고리의 U55-G56 결합들을 강하게 절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안지오제닌을 5S rRNA의 삼차구조 분석에서의 탐침의 하나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둘째, 5S rRNA의 d고리의 구조는 Mg2+과 H+농도에 따라 변하기 쉽다는 것을 알았다.

Higher order structure of 5S rRNA isolated from Xanthomonas celebensis was examined using angiogenic extracted from milk. Angiogenin cleaved exclusively 3' P-O bonds on the far sides of pyrimidines in the single-stranded sequences of 5S rRNA. Whereas angiogenin acted only on the loop d of 5S rRNA at pH 7.0 in the presence of 10 mM Mg2+, it acted on all the loops (a, b, c and d) except loop e in the absence of Mg2+. In the absence of Mg2+, bonds U74-G75, U77-A78 and U103-A104 were highly susceptible to the action of angiogenin both at pH 7.0 and at pH 3.5. On the other hand, at pH 3.5 in the absence of Mg2+ angiogenin strongly cleaved the bond C17-G18 of loop a and the bond U55-G56 of loop b. The results lead u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angiogenin can be used as one of the probes for the tertiary structure analysis of 5S rRNA. Second, the structure of loop d of 5S rRNA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s of Mg2+ and H1+.

Page
769 - 773
Full Text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