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time in Korea 01:25 Apr 26 (Fri) Year 2024 KCS KCS Publications
KCS Publications
My Journal  Log In  Register
HOME > Search > Browsing(JKCS) > Final Edi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JKCS)

ISSN 1017-2548(Print)
ISSN 2234-8530(Online)
Volume 63, Number 6
JKCSEZ 63(6)
December 20, 2019 

 
Title
The Differences of Graph Constru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Daily-life and Scientific Contexts by the Views on the Nature of Scientific Measurement

중학생의 측정의 본성에 대한 견해에 따른 일상 및 과학적 맥락에서의 그래프 구성의 차이
Author
Jaewon Lee, Goeun Ryu, Kyuyul Lee, Taehee Noh*

이재원, 류고운, 이규열, 노태희*
Keywords
그래프 구성, 측정의 본성에 대한 견해, 일상 및 과학적 맥락 ,  Graph construction, Views on the nature of scientific measurement, Daily-life and scientific contexts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측정의 본성에 대한 견해에 따라 중학생이 구성한 일상 및 과학적 맥락의 그래프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 15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일상 및 과학적 맥락만 다른 상황에서 비례, 반비례, 비례하게 증가 하다 일정해지는 형태의 그래프를 구성할 수 있도록 유사한 측정값을 갖는 자료를 각각 제시한 후, 학생들이 구성한 그래프를 추 세선 구성(추세선의 유형, 내·외삽), 축 변수 설정, 축 눈금 표기와 점 찍기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집합 패러다임의 학 생들은 반비례 그래프의 추세선을 곡선형으로, 점 패러다임의 학생들은 꺾은선형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있었다. 내·외삽의 경우, 과 학적 맥락의 그래프에서 집합 패러다임의 학생들은 점 패러다임의 학생들보다 내·외삽을 더 잘 수행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때 집 합 패러다임의 학생들은 일상 및 과학적 맥락과 무관하게 내·외삽을 잘 수행하였으나 점 패러다임의 학생들은 일상적 맥락보다 과학적 맥락에서 내삽만 수행한 비율이 높았다. 축 변수 설정, 축 눈금 표기, 점 찍기 요소는 패러다임 유형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그래프 구성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graph construc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daily-life and scientific contexts according to the views on the nature of scientific measurement. A test consisting of three similar data sets regarding daily-life and scientific contexts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151 ninth graders. They were expected to construct proportional, inverse-proportional, and increasing and become constant form of graphs for each data set. Graphs constructed were analyzed in the aspects of constructing a trend line (types of a trend line, interpolation/extrapolation), selecting axes variables, scaling axes, and plotting points.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ith set paradigm tended to construct a curved trend line, while those with point paradigm constructed a broken trend line in inverse-proportional graph questions. In the aspects of interpolation/extrapolation, most students with set paradigm performed both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better than those with point paradigm in scientific context. Most students with set paradigm performed both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regardless of contexts, while the proportion of interpolation of those with point paradigm was higher in scientific context than in daily-life context. In selecting axes variables, scaling axes, and plotting do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t and point paradigms. On the bases of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graph construction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Page
473 - 485
Full Text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