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time in Korea 13:30 Apr 20 (Sat) Year 2024 KCS KCS Publications
KCS Publications
My Journal  Log In  Register
HOME > Search > Browsing(JKCS) >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JKCS)

ISSN 1017-2548(Print)
ISSN 2234-8530(Online)
Volume 63, Number 5
JKCSEZ 63(5)
October 20, 2019 

 
Title
Exploring Learning Progression of Logical Thinking in Acid and Base Chemical Reactions

산과 염기 화학반응에서 논리 사고 학습발달단계 탐색
Author
Chulyong Park, Sungki Kim, Hee Choi, Seoung Hey Paik*

박철용, 김성기, 최 희, 백성혜*
Keywords
산염기, 논리사고, 학습발달, 학생 ,  Acid-base, Logical thinking, Learning Progression, Student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산과 염기의 화학반응에 대한 학습발달을 논리 사고 발달단계에 근거하여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7개 지역, 9개의 초등, 중등, 고등학교에서 387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설 문지는 총 9문항이었으며, 산과 염기 반응물과 생성물을 제시하고 이 물질들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그림으 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적도록 구성하였다. 상황 맥락은 한 종류의 용질이 용매에 녹는 상황과 두 종류의 용질이 용매에 녹는 상 황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물질보존 논리, 조합 논리, 비례 논리, 입자 개수 보존 논리를 조합하여 총 6단계의 학습발 달을 가정하였다. 자료를 분석하여 Rasch 모델로 Person reliability, Item reliability, MNSQ와 ZSTD의 Infit와 Outfit값을 구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가설적으로 제안한 논리 사고 학습발달단계가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중학교 2학년까지는 낮은 단 계의 사고가 저학년에서 더 우세하였다. 그리고 높은 단계의 사고(2단계에서 5단계)가 상대적으로 고학년에서 우세한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고등학교 3학년(Grade 12)에서 높은 단계의 사고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가장 마지막 단계인 5단계의 사 고는 모든 학년에서 매우 낮았으며, 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높은 학년은 중학교 3학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이한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은 교과서의 서술 방식과 관련된 추후 연구 과제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arning progression of logical thinking in acid and base chemical reactions and to evaluate its validity.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387 participants in 9 school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he questionnair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nine items. The questionnaire presented the acid and base reactants and products, and the students pictured their thoughts on how these substances change, and answered the reasons of their thoughts. Situation context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kind of solute dissolved in a solvent, and two kinds of solute dissolved in a solvent. In this study, six levels of learning progression were assumed by combining material conservation logic, combination logic, proportion logic, and particle number conservation logic. By analyzing the data, Infit and Outfit values of Person reliability, Item reliability, MNSQ and ZSTD were obtained from the Rasc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ata, it was found that lower levels of learning progression prevailed up to the younger grade students till 8th grade. The higher levels of learning progression(Level 2~Level 5) prevailed up to the older grade students. However, higher levels of learning progression dropped sharply in Grade 12. The 5 level of learning progression was very low in all grades, and 9th grade had highest percentage of students belonging to the 5 level. Interpretation of these unusual results suggests a future research related to explanation differences of textbooks.

Page
376 - 386
Full Text
PDF / Supporting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