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time in Korea 14:59 Mar 29 (Fri) Year 2024 KCS KCS Publications
KCS Publications
My Journal  Log In  Register
HOME > Search > Browsing(JKCS) >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JKCS)

ISSN 1017-2548(Print)
ISSN 2234-8530(Online)
Volume 62, Number 3
JKCSEZ 62(3)
June 20, 2018 

 
Title
Impact of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on Claim and Evidence Formation in High School Argument?Based Inquiry

고등학교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학생 평가활동이 주장과 증거 형성에 미치는 영향
Author
Seonwoo Lee, Jeonghee Nam*

이선우, 남정희*
Keywords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 논의, 동료평가, 자기평가 , Argument-based inquiry, Argumentation, Peer assessment, Self assessment
Abstract
이 연구는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학생 평가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주장과 증거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166명을 대상으로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 학생 (84명)들은 모둠의 주장과 증거에 대한 평가 기회를 제공받았고 비교집단 학생(82명)들은 이 단계를 생략하였다. 학생 평가활동 이 학생들의 주장과 증거 형성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주장과 증거 그리고 학생 평가활동의 결과를 분 석하였으며,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 평가활동의 타당성과 활용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논의활동에서 증거를 형 성하는 능력이 비교집단보다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집단 학생들이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더 정확하고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평가활동을 통해 주장에 대한 증거가 적절한지, 증 거가 충분한지, 제시된 증거 자료는 정확한지 대해 평가하며 지속적으로 평가결과를 피드백으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학 생들은 평가 결과가 대체적으로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평가 결과를 다음 활동에 반영하여 다양한 증거를 제시하는 능력 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학생 평가활동이 학생들의 주장과 증거 를 형성할 때 주장의 타당성과 정당성을 높이는 증거 형성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on claim and evidence formation in argument-based inquiry (ABI)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66 grade 10 students from six different classes in the same high school. The experimental group (84 students) was taught Argument-Based Inquiry with students’ self and peer assessment activities. The comparative group (82 students) was taught without the activities. Over one semester students participated in five ABI programs that we develop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laim and evidence from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 of analysis of students’ assess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frequency about accurate and sufficient evidence revealed to be high and students assessed whether peers’ claims fit with the evidence and whether peers’ explanations of the evidence’s validity was sufficient. Students’ answers in the survey and interviews showed that the students though they could improve the accuracy of their ideas, appropriateness of their evidence, and the method of presenting evidence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Page
203 - 213
Full Text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