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time in Korea 02:48 Apr 24 (Wed) Year 2024 KCS KCS Publications
KCS Publications
My Journal  Log In  Register
HOME > Search > Browsing(JKCS) >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JKCS)

ISSN 1017-2548(Print)
ISSN 2234-8530(Online)
Volume 61, Number 4
JKCSEZ 61(4)
August 20, 2017 

 
Title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cience Inquiry’ by Professional Factors of Teaching Practice for Science Inquiry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에 의한 ‘과학탐구’ 관련 연구동향 분석
Author
Dongseung Lee, Jeongseok Park*

이동승, 박종석*
Keywords
과학탐구, 연구동향, 수업실행 전문성 , Science inquiry,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Professional factors of teaching practice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과학 교육 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 중 과학탐구 관련 연구들을 주제별, 과학탐구 수 업실행 전문성 요소별로 분석함으로써 과학탐구지도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6개의 국내 과학교육 관련 학회의 홈페이지에서 탐구, 과학탐구를 키워드로 하여 463편을 수집하였다. SEF(2006)의 교사 전문성 개발 틀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463편의 논문 중 217편을 연구대상 으로 선정했다. 선정된 연구대상은 분석틀의 5가지 요소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고 유목화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과학교육전문가 2인과 박사과정 대학원생 4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워크숍을 통 해 연구에 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학습 환경 조성, 과학탐구 수업 계획 및 적용, 과학탐구 평가, 교 사의 과학탐구능력 등의 5가지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를 포함하는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의 주제들을 과학탐 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과학탐구 학습 환경 조성, 과학탐구 평가, 교사의 과학탐구능력에 관한 연구가 적었 다. 그리고 유목화 된 주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 과학교수 활동과 학습 자료 연구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교수 활동의 주체인 교 사에 초점을 둔 연구는 거의 없었다. 교사에 초점을 두면서 과학탐구 학습 환경 조성, 과학탐구 평가, 교사의 과학탐구능력에 대 한 연구가 더 이루어진다면 교사의 수업 실행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또한 교실에서 과학탐구 수행이 성공적 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cientific inquiry related research topics and consequently provide fundamental data and suggestions from a teaching method point of view. The study subjects was collected from the initial issue to the february 2016 issue of academic journals and using the keyword that ‘inquiry’, ‘scientific inquiry’. The framework of Professional factors of teaching practice was developed and used for selecting subjects of study. The selected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And Topics of study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topic was thoroughly debated between 2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4 doctorate candidates within a specialist workshop. Results show that scientific education environments, scientific inquiry evaluation and teaching ability was studied less than education process and textbook analysis, scientific inquiry designing and application. And The research on the topics indicated that most research is concentrated in specific areas. It is postulated that additional research into scientific education environments, scientific inquiry evaluation and teaching ability would further develop the teachers’ teaching abilities and enable a more successful science lesson in the classroom.

Page
197 - 203
Full Text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