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Information

Article Information


Interpretation of STM Images for Molecular Axis Orientations of Individual C60 Fullerenes


Expand AllCollapse All

흑연, 숯, 다이아몬드 외에 탄소로만 이루어져 있는 새로운 물질인 퓰러린의 구조에서 정 20면체는 20개의 정삼각형이 12개의 꼭지점으로 모여 있다. 각 꼭지점에 모여 있는 정삼각형은 다섯 개, 각 꼭지점을 칼로 베어보면 12개의 꼭지점은 12개의 정오각형으로 변하고, 20개의 정삼각형은 정 육각 형으로 바뀐다. 그리고 꼭지점은 60개가 된다. 이것은 축구공 모습의 구조이다.15

퓰러린처럼 내부 공간이 있는 바구니 구조를 가진 분자들은 표면-기질의 새로운 분류로서 매우 흥미로우며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원자수준의 스케일에 대한 이들의 삼차원적 구조 특성 때문에 원소나 단순한 분자의 흡착과는 다르므로 그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흡착 형태의 근본적인 특징은 기질-호스트에 대한 분자의 배향이다. C60 퓰러린 분자가 처음 발견되고 12면의 오각형과 20면의 육각형으로 구성된 구조에 대한 내부 바구니구조가 주사터널링 현미경(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으로 연구되어 왔다.618

나노-과학 기술에서 단일분자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활동적인 연구의 장이 되고 있다. 이러한 독특한 화학종인 퓰러린 분자는 단일 분자 과학 연구와 응용 면에서 무한대의 잠재성을 보여주고 있다. C60 고체에서 C60 분자는 우아한 바구니 구조로 흥미로운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고성능 현미경은 나노 스케일(Nano scale)까지 볼 수 있어 새로운 구조를 창출하거나 새로운 응용 물질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연구하거나 나노 구조물의 배향을 연구하는데 도움을 준다.6

퓰러린 응용은 태양전지에서 전자적인 요소와 분자에 근거를 둔 전자적인 장치뿐만 아니라 거대분자 어셈블리와 퓰러린-중합체 합성의 성분을 추가해 빌딩블록(building block)으로 사용한다.

퓰러린의 구조적 특징과 높은 대칭성은 결과적으로 분자상호작용 퍼텐셜(molecular interaction potentials)과 전자구조를 이론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것이다.10

금속표면에 흡착할 경우 퓰러린 분자는 금속표면과 매우 큰 상호작용을 한다. 많은 연구에서 보고된 바 퓰러린 단일분자 막(monolayer)의 흡착에서 기질 표면의 재구성을 이끈다.

Au(111)에 흡착된 경우에 표면과 강한 결합으로 C60 분자에 전자 전이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19,20

나노 단위의 신소재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뤄지면서 나노 단위 영역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 또한 집중되었다. 이를 위해 주사탐침현미경(Scanning probe Microscope: SPM) 이 발명되고 원자현미경 계열 중 주사 터널링(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STM) 현미경은 나노 단위 전도성 고체의 표면 원자 배열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금속을 다른 고체 표면에 접근시킨 다음 금속과 고체 사이에 전압을 걸어 주게 되면 두 물질이 접촉되어 있지 않더라도 양자역학적 터널링 현상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STM은 텅스턴 또는 백금-이리듐 합금으로 된 탐침을 고체 표면에 접근하여 탐침과 고체표면 원자 사이의 터널링 전류를 측정하고 이때 탐침을 고체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주사하여 터널링 전류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서 고체표면의 원자배열을 알아내는 장치이다. 21,22

STM은 그 자체로 기질표면이 변함에 따라 퓰러린의 흡수를 분석하는데 좋은 도구이며 표면과의 상호작용을 보는데 유용하다. 표면기질에서 금속의 종류로 주로 금(Au), 은(Ag), 알루미늄(Al) 과 반도체 물질로 특히, 실리콘(Si), 게르마늄(Ge), 그리고 갈륨비소(GaAs) 등이 있다. 퓰러린과의 상호작용은 표면기질이 반도체의 경우, 갈륨비소(GaAs) 에서는 상호작용이 작고, 실리콘에서는 상호작용이 강하다. 분자의 직접적인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이미지는 기질의 특정한 부분 위치로 결정된다.9

Tersoff와 Hamann에 의해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이론적인 연구가 시작되었고, 실험을 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결과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23 여기서 전체 원자가 전자 전하(total valence electron charge)보다 부분적인 에너지 상태들의 국부 전자 밀도(local density of the states) 를 사용하여 물리적, 화학적인 성질을 알아낸다.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지형도(topography)는 Ef 에서 일정한 전하밀도의 지도이다.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실험에서 물결모양은 전체 최외각 전자 전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에너지 상태들에서 전자의 국부 밀도에 가깝다. 바이어스전압(bias voltage), V를 가해준 후에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은 터널 갭(tunnel gap)을 가로질러 적용되며 에너지 윈도우 Ef ± Δ에 있는 상태들이 오직 터널링 전류에 기여하기 때문에 에너지 범위는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주어진다. 전체 전자 밀도 주름(total electron density corrugation)과 국소적 밀도 주름(local density corrugation)은 주사 터널링 현미경에 의해 보여 진다 그러나 반도체나 반금속에서 갭(gap) 이나 유사 갭(pseudogap) 이 있을 때는 매우 다르게 보이고 있다.18

C60 단일 분자가 표면에서 자체 회전 운동(rotational motion)을 할 때, 일반적으로 적당한 수로 결합 배열을 하여 그 결과 다양한 배향을 나타낸다.

C60 분자들 사이에 인력은 또 다른 구조 배향의 배열들로 나타내 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새로운 성질은 기능적인 바구니 분자들(functionalized cage molecules)를 가지는 새로운 촉매들을 디자인하고 원하는 배향 차수를 가진 박막을 만드는데 기초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질(substrate) 위에 바구니 분자가 자체가 어떻게 배향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일이며 이론적으로나 실험적으로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퓰러린 자체 구조에 대한 다양한 축 배향 가능성 구조에 대해 모의 실험으로 얻은 STM 이미지로 기존에 보고된 직접적인 실험을 통해 얻은 STM 이미지를 해석한다. 이를 통해 기질과 퓰러린의 상호 작용의 크기와 접촉 위치에 따른 다양한 실험 STM 영상 결과를 모의 실험으로 얻은 다양한 축 배향의 퓰러린에 대한 STM이미지를 통해서 축 배향 수준으로 설명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계산 방법

퓰러린의 삼차원적인 입체적 특성으로 표면에서 배향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STM 이미지를 모사하고자 하였다. 퓰러린의 5가지 모양에 대한 STM 이미지를 이론적인 방법으로 얻기 위하여 퓰러린 분자구조는 혼성 범밀도 함수 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방법인 B3LYP/6-31G(d)로 얻어진 최적화된 구조를 사용하였다.24 시료의 STM 이미지는 시료 표면에 대한 부분전자밀도 ρ(r0, ef) 도시(plot)로 기술되었으며, EHTB (Extended Hückel Tight Binding Electronic Band Structure Method)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사용한 프로그램은 CAESAR (Crystal and electronic structure Analysis) 프로그램 버전 1.0과 버전 2.0을 사용하여 DFT 방법으로 최적화된 퓰러린 구조에서 분자들 사이의 거리를 변수로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각각 모델에 주기성을 주어 계산하였다.25 Hou등의 실험 STM 이미지가 보고되어 있다.13 이 실험 STM 이미지와 모의 실험하여 얻은 STM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의

속이 비어 있는 퓰러린들의 다공성 표면에 대한 이론적인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이미지를 (a) C60 구조에서 5-각형(5-membered ring; 5-MR)과 6-각형(6-membered ring; 6-MR) 결합이 기질표면을 향해 있는 구조모델, (b) C60 구조에서 6-MR과 6-MR 결합이 기질표면을 향해 있는 구조모델, (c) C60 구조에서 꼭지점 원자 중에 하나가 기질표면을 향해 있는 구조모델, (d) C60 구조에서 오각형 면이 기질표면을 향해 있는 구조모델, (e) C60 구조에서 육각형 면이 기질 표면을 향해 있는 구조모델을 기본 모듈로 선정하였다. 이 5개의 구조 모델을 Fig. 1에 나타내었다.

EHTB 계산에서 C60의 페르미 에너지, Ef는 −11.42 eV이며 부분밀도도시 계산에서 에너지윈도우(energy window, Δ)를 선택할 때 양의 값과 음의 값을 모두 고려를 해보았으며, 두 가지 경우에 같은 모양의 이미지를 주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음의 값(Ef -Δ)을 선택하였다. 페르미 에너지를 기준으로 채워진 전자밀도상태에서 5개의 에너지상태를 고려하여 부분밀도도시 계산을 수행하였다(5개의 분자 궤도함수(Molecular orbitals, MO)가 이 에너지 영역에 해당 되었다). 팁과 샘플과의 거리 r0는 0.25Å으로 선택하였다. 이 거리는 STM 팁과 가장 가까운 표면 원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Vbias< 0 일 때 ρ(r0, ef) 도시 계산을 수행하였다. 두 퓰러린 분자 중심 간의 거리를 변수로 하여 실제 실험 이미지에서 본 구조를 모사하였다(Fig. 2). 얻어진 흑백의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이미지에서 밝은 부분은 전자밀도가 높으며 어두운 부분은 상대적으로 전자 밀도가 적은 부분을 나타낸다.

C60 구조에서 꼭지점 원자 중에 하나가 기질표면을 향해 있는 구조모델 3의 경우, 분자 간의 중심거리는 8.242Å이고, 분자 사이의 최 인접원자 거리는 1.6Å이며, Hou 등이 보고한 실험 STM 이미지13와 가장 근사하다. Fig. 1에서 보여진 꼭지점 원자구조 모델 3은 퓰러린의 정 중앙에 꼭지점이 위치하고 있다. Hou 등이 알킬티올의 자기조립단층 위에, 배향 자유에 비롯된 또 다른 새로운 위상학적 질서를 가진 이상적인 2차원 체계를 형성한, C60 집합체 실험 STM 이미지를 보고 하였다.13 이 실험 이미지를 모사하기 위하여 Fig. 1(c)에 나타낸 퓰러린 구조의 단위세포에서 a 방향으로 6°, b 방향으로 −4°, c 방향으로 −24°회전하였다. 이때 음의 값 정수는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단위 세포에 변화를 준 변형된 꼭지점 모델 3의 위에서 바라본 원자 구조를 Fig. 2(a)에 나타내었다. 퓰러린 분자 중심과 중심 사이의 거리가 10.0Å, 9.10Å, 8.40Å, 및 8.242Å을 갖는 각각의 거리 값에 대한 STM이미지를 모사하였다. 이 모사 실험으로 얻은 STM 이미지를 Fig. 3에 나타내었다.

Figure1.

Five atomic structure models of axial orientation of C60 fullerene molecules (a) the model 1 with a 5-membered ring (5-MR) and 6-membered ring (6-MR) coupling of a C60 structure facing the substrate surface; (b) the model 2 with a 6-MR and 6-MR coupling of a C60 structure facing the substrate surface; (c) the model 3 in which one of sixty vertices of C60 structure faces the substrate surface; (d) the model 4 in which a 5-MR of a C60 structure faces the substrate surface; and (e) the model 5 in which a 6-MR of a C60 structure faces the substrate surface.

jkcs-63-323-f001.tif
Figure2.

STM images of five axial orientation shapes of a C60 fullerenes. (a) the model 1 with a 5-membered ring (5-MR) and 6-membered ring (6-MR) coupling of a C60 structure facing the substrate surface; (b) the model 2 with a 6-MR and 6-MR coupling of a C60 structure facing the substrate surface; (c) the model 3 in which one of sixty vertices of C60 structure faces the substrate surface; (d) the model 4 in which a 5-MR of a C60 structure faces the substrate surface; and (e) the model 5 in which a 6-MR of a C60 structure faces the substrate surface.

jkcs-63-323-f002.tif
Figure3.

STM images of the modified model 3, in which one of the vertex atoms of C60 fullerene structure is facing the substrates surface. (a) In the unit cell of the fullerene structure, it rotated 6° in a direction, −4° in b direction, and −24° in c direction. STM images obtained from the simulations of the nearest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molecules (between the nearest atoms) of two C60 fullerene molecules: (b) at 10.0Å (3.36Å), (c) at 9.10Å (2.458Å), (d) 8.40Å (1.758Å), and (e) 8.242Å (1.6Å), respectively.

jkcs-63-323-f003.tif

X-ray 구조 실험에서 구한 퓰러린의 최인접 이웃 탄소와의 거리는 10.04Å이다.3,12 본 연구에서도 에너지 관점에서 퓰러린 분자들 사이의 거리가 10.0Å 떨어져 있을 때 에너지가 가장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밀도도시를 이용한 STM 이미지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해서 퓰러린 구조에 존재하는 탄소 고리의 오각형, 육각형(5-MRs와 6-MRs 탄소결합 및 6-MRs와 6-MRs탄소결합)의 선명한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또한 꼭지점 원자가 맨 위층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모델 3 및 변형한 모델 3의 경우는 Hou 등이13 얻은 실험 STM 이미지와 거의 흡사한 이미지를 얻었다.

결론으로 가상 공간에서 얻은 C60의 5가지 축 배향 구조에 근거한 STM 이미지 모의실험 모델 모듈을 얻었다. 이 5종의 모델에 대한 모의 실험 이미지 모듈을 사용하여, 실험에서 얻은 STM 이미지에 대한 원자 구조를 설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실제 실험을 통해 얻은 STM 이미지와 모의 실험을 통해 얻은 축 배향에 따른 5종의 모델에 대한 STM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기질 위에 흡착된 C60에 대한 각각의 축 배향 구조를 영상 모의 실험 모델 모듈을 통해 얻을 수 있음을 제시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9학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 수행됨.

Notes

References

1. 

[(a)] C. T. SetoG. M. WhitesidesJ. Am. Chem. Soc.19901126409 [CrossRef] [(b)] H. W. KrotoJ. R. HeathS. C. O'BrienR. F. CurlR. E. SmalleyNature1985318162 [CrossRef]

2. 

W. Krӓtschmer L. D. Lamb K. Fostiropoulos D. R. Huffman Nature1990347354 [CrossRef]

3. 

Q.-M. Zhang J.-Y. Yi J. Bernholc Phys. Rev. Lett.1991662633 [CrossRef]

4. 

G. E. Scuseria Science1996271942 [CrossRef]

5. 

T. G. Schmalz W. A. Seitz D. J. Klein G. E. Hite J. Am. Chem. Soc.19881101113 [CrossRef]

6. 

B. Li H. Wang J. Yang J. G. Hou Ultramicroscopy200498317 [CrossRef]

7. 

J. I. Pascual J. Gόmez-Herrero C. Rogero A. M. Barό D. Sἁnchez-Portal E. Artacho P. Ordejόn J. M. Soler Chem. Phys. Lett.200032178 [CrossRef]

8. 

G. Costantini S. Rusponi E. Giudice C. Boragno U. Valbusa Carbon199737727

9. 

T. Stimpel M. Schraufstetter H. Baumgӓrtner I. Eisele Materials Sci. Eng. B200289394 [CrossRef]

10. 

S. Guo P. M. Nagel A. L. Deering S. M. Van Lue S. Alex Kandel Surf. Sci.2007601994 [CrossRef]

11. 

N. A. Paradhan N. Liu W Ho J. Phys. Chem. B20051098513 [CrossRef]

12. 

T. Orzali M. Petukhov M. Sambi E. Tondello Applied Surf. Sci.20062525534 [CrossRef]

13. 

J. G. Hou J. Yang H. Wang Q. Li C. Zeng L. Yuan B. Wang D. M. Chen Q. Zhu Nature2001409304 [CrossRef]

14. 

H. C. Manoharan C. P. Lutz D. M. Eigler Nature2000403512 [CrossRef]

15. 

T. W. Odom J.-L. Huang P. Kim C. M. Lieber Nature199839162 [CrossRef]

16. 

J. G. Hou J. Yang H. Wang Q. Li C. Zeng H. Lin B. Wang D. M. Chem Q. Zhu Phys. Rev. Lett.1999833001 [CrossRef]

17. 

S.-W. Hla L. Bartels G. Meyer K.-H. Rieder Phys. Rev. Lett.2000852777 [CrossRef]

18. 

K. H. Lee M. Causa S. S Park J. Phys. Chem. B.19981026020 [CrossRef]

19. 

E. I. Altman R. J. Colton Surf. Sci.199227949 [CrossRef]

20. 

X. Lu M. Grobis K. H. Khoo S. G. Louie M. F. Crommie Phys. Rev. B.200470115418 [CrossRef]

21. 

C. J. Chen Introduction to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Oxford University Press1993

22. 

R. Wisendange Scanning Probe Microscopy and SpectroscopyCambridge University Press1994

23. 

J. Tersoff D. R. Hamann Phys. Rev. Lett.1983501998 [CrossRef]

24. 

M. J. Frisch G. W. Trucks H. B. Schlegel G. E. Scuseria M. A. Robb J. R. Cheeseman G. Scalmani V. Barone B. Mennucci G. A. Petersson H. Nakatsuji M. Caricato X. Li H. P. Hratchian A. F. Izmaylov J. Bloino G. Zheng J. L. Sonnenberg M. Hada M. Ehara K. Toyota R. Fukuda J. Hasegawa M. Ishida T. Nakajima Y. Honda O. Kitao H. Nakai T. Vreven J. A. Montgomery J. E. Peralta, Jr. F. Ogliaro M. Bearpark J. J. Heyd E. Brothers K. N. Kudin V. N. Staroverov R. Kobayashi J. Normand K. Raghavachari A. Rendell J. C. Burant S. S. Iyengar J. Tomasi M. Cossi N. Rega J. M. Millam M. Klene J. E. Knox J. B. Cross V. Bakken C. Adamo J. Jaramillo R. Gomperts R. E. Stratmann O. Yazyev A. J. Austin R. Cammi C. Pomelli J. W. Ochterski R. L. Martin K. Morokuma V. G. Zakrzewski G. A. Voth P. Salvador J. J. Dannenberg S. Dapprich A. D. Daniels Ö. Farkas J. B. Foresman J. V. Ortiz J. Cioslowski D. J. Fox Gaussian 09, Revision AGaussian, Inc.Wallingford CT2009

25. 

[(a)] S. N. MagonovM.-H. WhangboAdv. Mater.19946355 [CrossRef] [(b)] S. N. MagonovM.-H. WhangboSurface Analysis with STM and AFMWiley-VCH1996 [(c)] S. S. ParkJ. LeeW. R. LeeK. H. LeeBull. Korean Chem. Soc.20072881 [CrossRef] [(d)] M.-H. WhangboR. HoffmannJ. Am. Chem. Soc.19781006093 [CrossRef]